표준이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와 형태, 성능, 품질 등에 관한 명확한 시방과 아울러, 그와 직접, 간접으로 관련되는 생산에 필요한 재료나 부품, 생산방법, 설비, 공구, 생산에 관계된 업무의 순서나 절차, 그리고 부문간 혹은 담당자간의 역할분담을 사전에 약속해 두는 것.
표준화란?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이것을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
1) 경험을 정리하여 반복되는 일의 처리방법을 결정한다
2) 이것을 지켜서 일의 결과를 요구하는 폭에 들도록 한다
3) 요구를 만족하지 못할 때에는 원인을 규명하여 개정한다
표준화의 유형
사내표준 : 회사가 구매,제작,판매,기타업무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회사의 자체의 통일된 표준
단체표준 : 학회, 협회, 업계, 단체등에서 이들에 속하는 회원의 협력과 동의로 제정되는 표준
국가표준 : 한 나라가 국가규격기관을 통하여 국내 모든 이해 관계자의 합의를 얻어 제정 공표된 표준
국제표준 : 공통이익을 가진 다수의 독립 국가간의 협력과 동의에 의하여 제정되고 범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규격
표준화의 필요성
1.사내 Rule을 전원이 알기 위하여
2.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3.품질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하여
4.생산성 향상과 코스트를 절감하기 위하여
5.업무상의 개선을 추진하기 위하여
표준화의 역할
1.경영방침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역할
2.직무내용이나 책임/권한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
3.작업자나 경력이 짧은 기술자의교육훈련에 표준을 활용
4.신속/정확한 업무로 신뢰도를 높여업무의 효율화에 기여
표준화의 효과
1.생산 능률의 증진과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2.품질향상에 직결된다.
3.부품,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4.사용이나 소비를 합리화 시킨다
5.거래의 단순화나 공정화가 꾀해진다
6.기술향상과 직결된다
7.업무 운영을 확실하게 한다.
표준류가 갖추어야 할 조건
1.구체적인 행동의 기준일 것
2.임의적인 재량의 여지가 없을 것
3.사람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지 않을 것
4.실정에 적합한 것일 것
5.선수를 칠 수 있는 것일 것
6.이상과 기준에서 이상이 조치가 표시되어 있을 것
7.알기 쉽게 적은 것일 것
8.개정의 사유를 알 수 있게 해 둘 것
9.지켜지는지를 알 수 없는 규정, 표준이 아닐 것
사내 표준화의 정의
“ 회사, 공장 등에서 재료, 부품, 제품 및 구매, 제조, 검사, 관리 등의 업무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정한 표준 ”
“ 회사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하여 회사내의 모든 활동을 성문화 시킨 규율 즉 사내 법률 같은 것 ”
사내 표준화의 목적
1.회사내의 질서 유지
2.업무 및 작업의 능률 향상
3.고유기술 및 관리기술 축적, 기술력 향상
4.정보의 전달
5.관리기준의 명확화
6.호환성의 확보
7.품질의 안정, 향상
8.COST의 절감
9.통계적 수법의 활용 용이
10.안전, 건강 및 생명의 보호
11.소비자 및 공동사회의 이익에 공헌
사내 표준화의 문제점
1.표준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2.이상(異常)사항 및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하여져 있지 않다.
3.개정, 폐기의 이력이 없다.
4.개인적인 축적은 있어도 회사로서의 기술축적이 없다.
5.제품의 품질규격, 검사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6.표준서, 규격류가 만들어져 있어도 활용되고 있지 않다.
7.표준류와 해석결과와의 결부가 명확하지 않다
8.표준류의 필요성이 충분히 인식되어 있지 않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와 형태, 성능, 품질 등에 관한 명확한 시방과 아울러, 그와 직접, 간접으로 관련되는 생산에 필요한 재료나 부품, 생산방법, 설비, 공구, 생산에 관계된 업무의 순서나 절차, 그리고 부문간 혹은 담당자간의 역할분담을 사전에 약속해 두는 것.
표준화란?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이것을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
1) 경험을 정리하여 반복되는 일의 처리방법을 결정한다
2) 이것을 지켜서 일의 결과를 요구하는 폭에 들도록 한다
3) 요구를 만족하지 못할 때에는 원인을 규명하여 개정한다
표준화의 유형
사내표준 : 회사가 구매,제작,판매,기타업무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회사의 자체의 통일된 표준
단체표준 : 학회, 협회, 업계, 단체등에서 이들에 속하는 회원의 협력과 동의로 제정되는 표준
국가표준 : 한 나라가 국가규격기관을 통하여 국내 모든 이해 관계자의 합의를 얻어 제정 공표된 표준
국제표준 : 공통이익을 가진 다수의 독립 국가간의 협력과 동의에 의하여 제정되고 범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규격
표준화의 필요성
1.사내 Rule을 전원이 알기 위하여
2.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3.품질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하여
4.생산성 향상과 코스트를 절감하기 위하여
5.업무상의 개선을 추진하기 위하여
표준화의 역할
1.경영방침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역할
2.직무내용이나 책임/권한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
3.작업자나 경력이 짧은 기술자의교육훈련에 표준을 활용
4.신속/정확한 업무로 신뢰도를 높여업무의 효율화에 기여
표준화의 효과
1.생산 능률의 증진과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2.품질향상에 직결된다.
3.부품,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4.사용이나 소비를 합리화 시킨다
5.거래의 단순화나 공정화가 꾀해진다
6.기술향상과 직결된다
7.업무 운영을 확실하게 한다.
표준류가 갖추어야 할 조건
1.구체적인 행동의 기준일 것
2.임의적인 재량의 여지가 없을 것
3.사람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지 않을 것
4.실정에 적합한 것일 것
5.선수를 칠 수 있는 것일 것
6.이상과 기준에서 이상이 조치가 표시되어 있을 것
7.알기 쉽게 적은 것일 것
8.개정의 사유를 알 수 있게 해 둘 것
9.지켜지는지를 알 수 없는 규정, 표준이 아닐 것
사내 표준화의 정의
“ 회사, 공장 등에서 재료, 부품, 제품 및 구매, 제조, 검사, 관리 등의 업무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정한 표준 ”
“ 회사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하여 회사내의 모든 활동을 성문화 시킨 규율 즉 사내 법률 같은 것 ”
사내 표준화의 목적
1.회사내의 질서 유지
2.업무 및 작업의 능률 향상
3.고유기술 및 관리기술 축적, 기술력 향상
4.정보의 전달
5.관리기준의 명확화
6.호환성의 확보
7.품질의 안정, 향상
8.COST의 절감
9.통계적 수법의 활용 용이
10.안전, 건강 및 생명의 보호
11.소비자 및 공동사회의 이익에 공헌
사내 표준화의 문제점
1.표준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2.이상(異常)사항 및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하여져 있지 않다.
3.개정, 폐기의 이력이 없다.
4.개인적인 축적은 있어도 회사로서의 기술축적이 없다.
5.제품의 품질규격, 검사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6.표준서, 규격류가 만들어져 있어도 활용되고 있지 않다.
7.표준류와 해석결과와의 결부가 명확하지 않다
8.표준류의 필요성이 충분히 인식되어 있지 않다
출처 : 구매전략과 현장개선 이야기
글쓴이 : 화목할 睦 원글보기
메모 :
'경영·전략·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정5S활동 동영상 (0) | 2019.02.01 |
---|---|
크리켓이 가르쳐준 리더십의 원칙 (0) | 2019.01.05 |
`세계1등` 도요타가 도르래 쓰는 까닭은?_가나쿠리개선 (0) | 2018.12.28 |
예일대학교의 놀라운 실험_1%의 미래 (0) | 2018.12.01 |
잠망경, 현미경, 망원경으로 질문하라 (0) | 201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