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참마속(泣斬馬謖) 울면서 마속을 베다 자유게시판
읍참마속 [泣斬馬謖] [명사]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읍참마속(泣斬馬謖) <울면서 마속을 베다.> 제갈공명이 기강 확립을 위해 아끼는 신하 마속을 울며 벤 데서 유래했다. 법을 공정히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리는 걸 뜻한다. 출전은 《삼국지》 「축지」,「제갈량전」.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제갈공명은 위나라 군사를 격파하면서 북진하다가, 기산(祁山) 벌판에서 사마중달의 20만 군대와 대치했다. 사마중달은 이미 부채꼴 모양의 진을 쳐서 대비하고 있었는데, 공명 역시 이를 돌파할 전략을 짜놓았다. 하지만 걸리는 곳이 한 곳 있었다. 바로 식량 보급로의 요충지인 가정(街亭) 땅이었다. 그곳을 적에게 뺏기면 군사를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공명으로서는 가정의 수비가 큰 문제였다. 그때 스스로 가정을 수비하겠다고 나선 사람이 마속이었다. 마속은 공명의 절친한 벗인 마량(馬良)의 어린 동생인데, 재주와 능력이 뛰어나 공명은 그를 매우 아끼고 있었다. 그러나 사마중달과 대항하기는 아직 어렸다. 그런데도 마속은 간절히 탄원했다. 「몇 년간 병법을 배웠는데, 가정쯤이야 지키지 못하겠습니까? 만약 패한다면, 저만이 아니라 가족 전부를 벌에 처해도 원망하지 않겠습니다.」 마침내 공명도 승낙했다. 「좋다. 진중(陳中;군대 안)에서는 쓸데없는 말이 없는 법이다.」 공명은 삼면이 절벽인 가정의 산기슭을 지키라고 명한 뒤 마속을 가정으로 보냈다. 그러나 마속은 적을 유인해 역습하겠다고 하면서 산꼭대기에 진을 쳤다. 위나라 군사가 산기슭을 포위하자, 식수가 끊긴 마속은 전병력을 휘몰아 포위망을 돌파하려 했으나 결국 참패하고 말았다. 공명은 그를 보낸 것을 후회했지만, 어쩔 수 없이 잠시 군사를 한중 땅으로 후퇴시켰다. 그는 마속 같은 유능한 인재를 잃는 것은 나라의 손실이라는 측근의 말을 물리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마속은 아까운 남자다. 하지만 그런 사사로운 정은 그가 범한 죄보다 더욱 큰 죄다. 마속을 잃는 게 나라의 손실일지 모르지만, 베지 않으면 더욱 큰 손실을 초래한다. 아깝기 때문에 오히려 그를 베어서, 대의(大義)를 바로 잡아야 한다.」 공명은 마속을 베도록 명령했다. 마속이 형장으로 끌려가는 것을 보고 공명은 마루에 엎드려 울었다. 「마속아, 용서해다오. 정작 죄는 내게 있구나. 내가 현명치 못해 너를 보낸 것이야. 그러나 나는 죽을 수가 없구나. 내가 살아 촉나라를 위함으로서 너의 죽음을 살려야하기 때문이란다.」 전군의 장수들도 공명의 심정을 헤아리고서 모두 울었다고 한다. |
'경영·전략·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인의식 (0) | 2019.02.14 |
---|---|
승자와 패자의 차이는? (0) | 2019.02.14 |
실패 두려워 않는 조직문화가 혁신 이끈다_Let"s Master -기업문화 (6) (0) | 2019.02.08 |
창업 생태계 구축…사업자금 무이자 지원_Let's Master - 유대인의 기업가 정신 (5) (0) | 2019.02.08 |
애플의 도약…소니의 추락 … 코닥의 파산 … 기업 운명 왜 갈렸나 (0) | 2019.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