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자연산 천마 판매 합니다-
저희 심마니 약초꾼이직접 채취한 명약중 명약 자연산 천마..
저희 심마니 약초 꾼 들은 2017년도 자연산 천마를 채취하는 시즌이 돌아 왔네요..
귀한 자연산 천마 채취시기가 년중 15일 정도로 워낙 짦아 더욱 귀하답니다
중풍등 뇌 혈관 질환의 명약 하늘이 내려준 천마 이때 잠시 채취 시기 입니다.
( 연락처 010-9337-7516 )
계좌번호 농협 737036-52-145025 임동 진
대부분 자생하는 청 천마 입니다.
이것이 홍천마 입니다.
자라는 환경에 따라 홍천마 청천마로 나뉘는데 일부 분들은 홍천마가 좋다 하지만
잘못 된 말인것 같습니다.
자연산 천마는 귀하면서 채취시기가 1년중 길어야 20일 짧은 것이 아쉽습니다.
귀하다 보니 품질에따라 가격이 1kg에 최저 100.000~150000원 이상
넘나들고 있지만 그것도 품귀가 될때가 많답니다.
- 자연산 야생 천마 -
천마란 무었인가?
우선 천마를 논하기 전에 심마니 약초꾼으로서 자연산 천마가 귀하며 채취
기간이 1년중 길아야 20일 이하로 아주 짧아 소비자 분들께 드릴 물량이 아주
제한적으로 적다는 것을 아셔야 됩니다.
자연산 천마란 재배가 아니라 이름 그대로 산에서 천마 종균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 야생상태에서 성장한 것입니다.
시중에 자연산 천마라고 판매 되는것 중에 진짜 야생이 아닌 천마가 자연산으로
팔리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망 됩니다.
자연산 (야생)천마는 재배와 형태가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모두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약간 납작하며 골프채를 연상케 합니다.
또한 채취 물양이 아주 적습니다.
맛 또한 재배에 비하여 약성은 강하면서 순한 편이며 삭대가 있어야 합니다.
천마의 싹대가 올라오는 모습
- 자연산(야생) 천마의 효능 -
천마라 부르는 것은 하늘에서 떨어져 마목(痲木:마비가 되는 증상)을 치료하였다고
하여 "하늘" 천(天)과 마목(痲木)의 마(痲)가 합쳐 붙여져 생긴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예로부터 정풍초(正風草)라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천마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어나 5∼6월에 잎이 없이 붓 대롱 같은 새싹으로
올라 오며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들며 싹이 막 올라올 무렵이 채적의 채취
시기이다.
이 시기가 지나고 싹에 꽃이 피면 천마는 속이 비고 썩어 버리며 땅속에 있던 어린
종묘가 성장하여 다음해에 새로운 싹을 틔우기를 반복한다.
자연산 천마는 싹 대가 푸른것과 분홍빛이 있는데 줄기가 붉은것이 홍천마이다.
일반인들은 천마와 산마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엄연히 다른 식물이다.
천마는 뿌리식물이라 생각 하지만 완전히 다른 식물이며 천마는 주로 참나무 군락지에서
버섯처럼 종균에 의해 성장한다.
자연산은 5~6월 싹이 올라오고 꽃이 피기 전에 채취 하여야 하기에 채취 시기가
짧은 것이 아쉽다.
일부 약초꾼들은 그 자리를 잘 기억해 두거나 메밀 또는 보리 씨앗을 뿌려 두어
그 장소를 알고 늦가을에서 초봄 사이에 채취 하는 경우도 있어나 좋은 방법은
아니라 생각 된다.
봄에 새싹이 올라오는 것만 채취 하면 우선 채취양은 작지만 매년 채취 할 수 있어나
늦가을이나 겨울에 땅을 다 파헤쳐 채취 한 곳은 대부분 그 어린 종묘까지 다 파헤쳐
지기 때문에 그 다음해 새싹이 올라오지 않아 그 군락지가 없어지고 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천마의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르며
참나무가 고사되어 뿌리 썩어 들어가는 곳에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 기생
식물이다.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으로 알려져 있다.
중풍,(뇌출혈.뇌경색),두통, 불면증, 고혈압, 우울증 같은 뇌질환과 혈관 질환에 명약으로
하늘이 내린 약초라 할 만큼 효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천마가 아주 좋은 약제이기는 하나 환자들이 꾸준히 장기 복용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 천마의 복용방법 및 보관 방법 *
우선 천마를 구입 하였을 때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씻지 말고 적당량씩 신문지에
싼 후 김치 냉장고 야채실에 보관하여야 하며 양이 많을 시에는 우선 당분간
먹을 양만 나둔다.
남은 생천마를 씻어 완전히 말린후 밀폐봉지에 담아 냉동 보관 하면서 꾸준히 먹는다
-생으로 복용방법 -
천마 복용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천마를 우선 이해하고 알아야 한다.
맛은 약간 쓴맛이 나면서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데 즉 오줌 냄새 같은 것이 난다.
천마의 이러한 특성을 모르는 분들은 한번 먹고 버리는 경우도 있기에 절대
버려서는안 된다는 뜻으로 본 필자는 그 맛과 향에 대하여 미리 말씀을 드리는
것이다.
천마는 드실 때 하나 씩 씻어 적당량을 믹스기에 갈은 후 식성에 따라 꿀이나.
과일즙과 다시 혼합하여 복용 한다.
처음에는 천마의 양을 1회 20g 정도로 시작하고 특별한 반응 명현현상 이 없으면
체질에 따라 1회 40~50g 으로 늘려나가도 되며 하루 2~3회 증상에 따라 가감
하면 된다
.
* 달여서 복용하는 방법 *
단방으로 천마를 달여 드실 때에는 생으로 또는 말린 것을 대추. 생강. 감초를 소량
넣고 유리나 옹기에서 달여서 복용하는데 이때에도 천마 특유의 맛과 향이 나는데
이 맛과 향을 아주 싫어하는 분은 냄새를 완전 제거 또는 완화 시키는 방법으로
달여 식성에 따라 꿀 등을 첨가 하여 복용하면 된다.
천마는 식약청으로 부터 식품으로 인가(2000.9.1)인가 됨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복용 하여도 되며 부작용이 없다.
다만 일시적으로 명현현상이 일어 날수 있는데 얼굴이 붉어지거나 속이 울렁거릴
수도 있으며 나른한 증상이 체질에 따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천마 복용량을 줄여 드시고 계속해서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며칠간 복용을
중단 하셨다가 양을 반으로 줄여 줄이고 꿀. 과일 즙의 양을 늘려 첨가하여
드시기 바랍니다.
생천마를 드시기 불편한 분은 생즙을 내기 전에 두텁게 썰어 식초 2~3 방울 물에
넣어 5분정도 담구어 두었다가 갈아드시면 다소 편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 가루나 환으로 드시는 방법 *
말린 천마를 한약 제분에서 곱게 빻아 가루로 드시거나 환으로 만들어 복용하면
되며 이 방법은 생으로 드시기 거북한 분들과 장기적으로 드실때 권하는 방법이다.
* 술로 담구어 드시는 방법
자연산 천마를 구할 때 미리 천마의 싹대 (정풍초 正風草 )를 함께 달라고 부탁하여
함께 술에 담는 것이 좋은데 이때 천마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말린 후 적당한 크기의
술병에 천마를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한 후 보관 하면 되는데 천마 술을 담은 후 1년이
경과 하여 완전히 숙성이 된 후 소주잔에 한잔씩 1일 2~3회 반주로 마시면 좋다.
천마 술은 숙성이 되어야 제 맛이 나서 먹기가 좋으며 숙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먹어
보면 암모니아 냄새같이 역겨운 냄새가 나기 때문에 1년 이상 완전히 숙성이 된 후 먹는
것이 좋다.
* 천마의 효능 대하여 옛 문헌에 기록된 내용 *
( 본초강목 )
“천마를 다른 이름으로 적전, 또는 정풍초라고 한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냉증이나 여러 가지 마비증,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 말을 많이 하면서 정신이
흐릿한 것, 잘 놀라고 정신이 흐릿한 것 등을 치료한다.
( 진장기 )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양기를 돕고 오로칠상을 보하며 귀주,고독을 없앤다.
또 혈맥과 관규를 잘 통하게 한다. 먹을 때 금할 것은 없다.”
( 향약집성방 )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풍습으로 인한 여러가지 마비증,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것, 어린이의 풍간, 잘 놀라는 것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을 잘 쓰게 하며 근력을 높여 준다.
오래 먹으면 기운이 나고 몸이 거뜬해지며 오래 산다.
( 약성론 )
“천마는 성질이 차다. 열독과 옴종에 줄기와 잎을 짓찧어 붙이고, 또 씨앗으로 밥을
지어 먹으면 열독이 없어진다.
물가에서 자라며 마편 초와 닮았고, 마디마디에 자주색 꽃이 피며 들 맨드라미와
같은 씨가 생긴다.”
( 일화자본초 )
“봄에 싹이 돋는데 갓 돋은 것은 함박꽃 싹과 같고 줄기는 한 대로
곧추 올라가 2∼3자나 자라는데 마치 화살대와 비슷하며 속은 비어 있고 붉은
빛이 난다. 그 때문에 "적전"이라 부른다.
줄기 속은 비었고 잎은 약간 뾰족하며 작은 잎의 절반 이상이 줄기에 붙어 있다.
가는 줄기 끝에 이삭 모양의 꽃이 피고 콩알 같은 씨가 생긴다.
씨는 여름에도 떨어지지 않고 있다가 줄기 속으로 내려가 땅에 떨어진다.
뿌리의 생김새는 참외를 닮았으며 10∼20개가 이어 달리고 큰 것은 무게가
200∼600 그램 이나 된다.
껍질은 흰 누른빛으로 백룡피라 하고 뿌리살을 천마라 한다.
음력 2∼3월과 5∼8월에 채집하여 껍질을 벗겨 버리고 햇볕에 말려서 쓴다.
( 도경 )
“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간경에 작용한다. 경련을 멈추고 간양을 내리며
풍습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진경, 진정작용, 진통작용이 밝혀졌다.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데,
경풍, 전간,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데,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등에 쓴다.
신경쇠약증에도 쓴다.
( 동의보감 )
모든허(虛)와 어지러운 증세에 천마가 아니면 치료하기 어렵다
(非天麻不能治)천마는 두통과 고혈압, 어지럼증에 특효약이라 할 만한다.
어지럼증은한의학에서 ‘현훈’이라고 부르는데 대개 간과 신장의 기운이
손상되어 간의 열이 위로 오르고 몸 안에 담과 열이 서로 뭉치거나 몸속의
수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여 생긴다.
몹시 어지럽고 속이 메스꺼우며 구토가 나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청력이
약해진다. 이럴 때에 천마를 사용한다.
천마는 간장의 열을 내리고 바람과 습기를 없애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머리가 흐리고 눈앞이 어질어질하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입안이 쓰며 가끔 잘
놀라고 손발이 저리며 손과 발을 잘 쓰지 못하고 팔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 사람
한테 특히 효험이 있다.
천마는 신경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 불면증을 치료하며 오래 복용하면 간,
신장,폐, 대장이 튼튼해지고 살결이 옥 같이 고와지며 머리칼이 까맣게 되고 혈액이
깨끗하게 되며 오래 살게 된다.
천마는 지금까지 알려진 약성 말고도 청혈(淸血), 해독(解毒), 소염(消炎), 항암
효과가 뛰어나서 사람의 체질에 따라 제대로 쓰기만 하면 거의 모든 질병을 고칠
수 있다고 한다.
천마의 약성을 요약 정리하여 보자.
♣ 천마는 양(陽)이면서도 음(陰)에 딸린 약초다.
자연 퇴비나 나뭇잎이 썩어서 생긴 진균(眞菌)을 좋아하며 사람이나 동물 등
건드리는 것을 싫어한다.
♣ 천마는 찌리하고, 쓰고, 아리고 ,비리고, 노리고, 달며, 짜고, 맵고,시며, 담담하고,
구수하고, 요욕한 맛 등 온갖 맛을 지니고 있어서 모든 장부와 경락에 다 들어간다.
♣ 천마는 피를 맑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담과 습을 제거하고, 염증을 삭이고,
진액을 늘리며, 피 나는 것을 멎게 하며, 설사를 멈추고, 독을 풀어 주며, 갖가지
약성을 중화하고 완화하며, 아픔을 멎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키는 등의 작용이 있다.
♣ 천마는 다음과 같은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고혈압, 저혈압, 중풍, 반신불수, 뇌일혈, 타박상, 뇌출혈, 뇌진탕,당뇨병,
간경화증, 가스 중독, 농약 중독, 백혈병, 혈우병, 어지럼증, 두통, 귀울림,
차멀미와 배멀미, 혈액 순환이 잘 안 될 때, 크게 잘 놀라는 병, 하반신 마비,
목덜미와 어깨, 잔등이 당기고 뻣뻣한 데, 지방간, 간염, 어깨가 차가운 증상,
팔다리에 열이 날 때, 손발이 뒤틀리는 데,심장병, 신장병, 어린이 간질, 감기
몸살, 관절통, 좌골신경통, 손발이 삔데,위장병, 장출혈, 어혈, 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있는 데, 음부 가려움증, 습진, 무좀, 피오줌을 누는 데,끓는 물이나
불에 덴 데, 쇠 독, 갖가지 암, 동상, 다형성 홍반, 마른버짐, 변비,설사, 광란,
후두염, 몸이 붓는 데, 오로칠상 등이다.
이 밖에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장부를 굳세게 하며 오래 먹으면
기운을 돋우고 체력을 늘리는 등의 효과를 일일이 말로 다할 수가 없다.
천마는 뇌출혈 곧 중풍으로 쓰러졌을 때 천마를 먹이면 신통하다고 할 만큼
효험이 있다.
실제로 중풍으로 쓰러져 의식이 없는 환자나 교통사고로 뇌를 심하게 다쳐
이미 병원에서 죽은 것으로 의사의 진단이 난 환자에게 천마를 먹였더니 아무
후유증 없이 되살아났다는 거짓말 같은 사례가 여럿 있다.
식중독이나 농약 중독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농약을 치다가 중독되어 쓰러졌거나 농약을 마셔 중독된 데에는 천마를
복용하면, 대개 2∼3일이면 깨끗하게 회복된다.
뇌출혈로 뇌수술을 해서 정신 이상이 되었거나 간질이 온 사람, 척추수술로
몸이 마비된 사람, 교통사고로 몸이 마비된 사람, 중풍 후유증으로 몸을 잘
움직이지 못하고 말을 잘 못하는 사람 등도 천마를 오래 먹으면 완치가 가능하다.
한마디로 천마는 하늘이 내린 약초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다.
맑은 공기와 물. 등 산 의 정기를 받고 자란 자연산 천마가 재배산에 비하여
월등히 좋기에 등산 등 산행을 을 하시다가 천마가 보이면 땅을 파 헤치지
말고 싹이 올라온 것만 살짝 켄 후 그 부위를 다독거려 주어야 후년에도
천마를 또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채취한 자연산 천마는 귀하므로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을 위해
가족이나 본인 들이 드시면 좋을 것 같다.
청 솔 산 삼 정 보 제 공
054) 464-7516 h.p 010-9337-7516
야생 천마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력' 300% 높이는 7가지 방법 (0) | 2017.06.24 |
---|---|
암세포 얼씬도 못하게 하는 4대 항암제 (0) | 2017.06.24 |
[81회] 뱃살의 적 '탄수화물'...밥과 밀가루가 아니었다? (0) | 2017.05.21 |
두고두고 써먹는' 효과만점 민간요법 (0) | 2017.05.20 |
초간단 뱃살 잡는 5분 호흡법 (0) | 2017.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