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에루카(見える化)'란?
도요타 자동차 생산현장에서 탄생한 용어. '문제점을 보이게 하라'는 현장 관리 신조어. '가시화'로 번역할 수 있음.
현장에서, 현물을 보고, 현상을 파악해야 한다는 ‘3현(現)주의’에 기반을 둔 일본기업 특유의 경영관리 방식이다.
눈에 보이는 현장! 일본의 10년 불황을 걷어낸 신 경영전략 '미에루카'!
토요타의 와타나베 카츠아키 회장은 사장으로 취임할 당시, "도요타의 과제는 수많은 문제가 잠재화되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얼마 있지 않아 '미에루카' 운동을 통하여 경영현장 각 부문에서 나타나는
징후를 가시화하여 무엇이 부족하고 어느 부분을 보강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밝혀내기 시작했다.
'미에루카(見える化)' 전략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관리', '보이는 조직'이 핵심이다.
단순히 눈에 보이는 것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행동의 본질을 이해한 다음 경영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미에루카 경영전략"은 일본 10년 불황을 이겨낸 새로운 경영전략인 '미에루카'의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실제로 실천
하고 있는 기업을 소개한다.
특히 저자는 미에루카 경영을 '문제 해결, 상황 이해, 고객 서비스 실천, 지혜 공유, 경영 완성'의 5가지 영역으로 세분화한 다음, 각 영역에 해당하는 다양한 기업들의 사례와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그리고 마지막에는 미에루카 경영을 추구할 때의 유의사항과 접근 방식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짚어준다.
직접부문(제조, 영업) 및 간접부문(개발·설계,생산기술,생산관리,구매,총무,경리 등)을 포함한
기업의 모든 부문에 눈에 보이는 관리를 할 수 있는System을 만들어,
1.방침·목표 관리가 보이게 化,
2.관리·감독자의 관리 업무가 보이게 化 ,
3.생산 시스템이 보이게 化,
4.관리·사무 시스템이 보이게 化 를 전개해 가는 혁신활동이다.
--------------------------------------------------------
▣ 미에루카 경영전략
▶ 혁신기업의 조건
깨달음→사고→대화→행동
1.깨달음을 발견한다.
가시화에 의해 보이게 된 현상이나 사시를 통하여 인간은 새로운 '깨달음'을 발견한다.
정보나 데이터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며, 깨달음의 발견이야말로 가시화의 목적이다.
2.사고를 길러 준다.
깨달음이라는 자극을 계기로 인간의 사고 회로가 돌아가기 시작한다.
눈으로 본 현상이나 사실을 토대로 새로운 인식이나 의문이 생겨나고 생각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이루어지는 '사고(思考)'는 현상이나 사실로부터 유발된 것이므로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이지 않고 구체적이다.
3.대화를 불러일으킨다.
가시화에 의해서 다양한 현상과 사실이 들여다보이고 조직 내에 고통적 인식의 공감대가 형성된다.
그 결과 조직의 벽,직종의 벽,계층의 벽,세대의 벽 등 조직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벽을 뛰어 넘는'대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된다.
4.행동을 유발한다.
사고나 대화는 인간에게 새로운 발상과 지혜를 가져다 준다.
"무엇을 해야 할까"에 대한 답이나 가설을 찾아낸 인간은 실행하고 싶다는 욕구를 갖게 되고,그 욕구가 구체적 '행동'을 일으킨다.
'경영·전략·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도날드 성공신화에 숨겨진 '냉혈 자본주의' (0) | 2017.04.12 |
---|---|
[스크랩] 미에루카 경영(visual planning) (0) | 2017.04.07 |
변화와 혁신_솔개의 삶(환골탈태) (0) | 2017.04.07 |
[스크랩] 3정 5S 란.. (0) | 2017.03.02 |
[스크랩] 공장 혁신의 기본 사고 (0) | 2017.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