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교육)

[엑셀 함수강좌] 직원 근무시간 계산(TIME)엑셀교실

조아0415 2016. 12. 15. 22:03
[엑셀 함수강좌] 직원 근무시간 계산(TIME)엑셀교실

 

 

TIME 함수

=TIME(hour, minute, second)

 

TIME 함수는 인수로 시, 분, 초 값을 받아 시간 값으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회사직원의 근무시간을 구할 때나 시간관련 작업 시 많이 이용되므로 잘 알아 두셔야 합니다.

 


※ 인수설명

 

hour

0~32767 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며 24보다 작은 값은 시로, 24보다 큰 값은 24로 나눈 나머지 값을 시로 처리합니다.

minute

0~32767 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며 60보다 작은 값은 분으로, 60보다 큰 값은 6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분으로 처리합니다.

second

0~32767 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며 60보다 작은 값은 초로, 60보다 큰 값은 6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초로 처리합니다.

 


 

 함수의 사용 예

 

아래 표를 보고 각 직원의 근무시간을 계산해보세요.

 

 

 

먼저 F4셀의 근무시간을 계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IF(AND(D4TIME(13,0,0)), E4-D4-TIME(1,0,0), E4-D4)

 

위의 수식을 처음 접하면 수식이 길어서 어렵게 느껴 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하나 차근차근 풀어보면 쉽다고 생각이 될 것입니다.

 

위 수식을 풀이하면 이런 뜻이 됩니다.

만약 D4셀의 시간이 12:00:00 보다 작고, E4셀의 시간이 13:00:00 보다 크다면,

E4셀의 시간에서 D4셀의 시간을 뺀 후에 1시간을 더 뺀 값을 결과 값으로 반환해주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E4셀의 시간에서 D4셀의 시간을 뺀 값을 반환합니다.

 

여기서 if함수와 and함수를 중첩문하여 사용한 이유는 점심시간이 근무시간에 포함되었는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 입니다.

첫번째 조건식 D4하고

두번째 조건식 E4>TIME(13,0,0) 을 이용하여 퇴근시간이 13시 이후인지 확인하는 것이지요.

두 조건을 만족한다면 점심시간을 1시간을 근무시간에 빼줘야 합니다.

 

이렇게 F4셀의 시간 값을 구하고 난 뒤 F4셀에서 F13셀까지 드래그 하면 전체 직원의 근무시간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