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왜? 왜? 왜? 왜? - 왜? 왜? 왜? 왜? 왜? (5W1H)
<비둘기 퇴치사례>
워싱턴 주에 있는
토머스 제퍼슨 기념관의 외곽 벽이 심하게 부식되고 있었습니다.
그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관리직원들이 돌을 필요이상으로 청소
하기 때문이라는 뜻밖의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사람들은 덜 자극적인 화학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런데 당시 부임한지 얼마되지 않은 기념관 관장은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
"왜 제퍼슨 기념관을 그렇게 청소하는가?" 그 이유는 비둘기들이 떼
지어 몰려와 똥을 싸 놓고 가기 때문이었습니다.
관장은 또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런데 비둘기들은 왜 몰려오는 걸까?"거미를 잡아먹기 위해서였습니다.
관장은 또 한 번 질문했습니다. "왜 그렇게 거미가 많은 것인가?"
거미들이 많이 꼬이는 이유는 나방 때문이었습니다. 나방이 많이 날아
들어 나방을 먹고 사는 거미가 많이 몰려들었던 것입니다.
관장은 또 한 번 물었습니다. "왜 그토록 많은 나방이 생기는 것일까?"
알고 보니 해질녘 켜 놓은 기념관 불빛이 나방을 끌어 모았던 것입니다.
연속적으로 질문을 던진 끝에 근본 문제가 기념관의 불빛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내고, 자연스럽게 해결책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 후 제퍼슨 기념관은 외곽 조명을 2시간 늦게 켰습니다.
나방이 모이는 시간대에 불을 켜지 않으니 나방이 날아들지 않았고,
자연히 거미도 없어지면서 비둘기 역시 몰려들지 않았습니다.
결국, 기념관 외곽 조명을 2시간 늦게 켠 것이 기념관 벽의 부식을 막는
해결책이었습니다.
박종하의"틀을 깨라"에서 인용한 이야기입니다.
수년간 문제가 되었던 일이 조명을 2시간 늦게 켜는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이 되어 무슨 큰 비법인가 싶지만
사실은 우리가 초등학교 시절부터 배워온 익히 잘알고 있는 문제해결기법중 하나인 “5why 기법”입니다.
'왜?' 라는 질문을 다섯 번 던지는 것입니다.
간단한 기법이지만 실생활에서 우리는 잊기 십상이고 기본과 철저한 원칙을 지키지 않기 때문에 해결방안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섯 번에 큰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더 이상 질문이 필요 없을 때까지
파고들어 근본 원인을 밝혀야 완전한 해결책이 나온다는 말입니다.
근본 원인을 제거하지 않으면 문제가 재발할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여러분 주위에 새로운 문제나 특히 “재발하는 문제”가 있다면 이 기법을 한번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퍼슨 Thomas Jefferson
출생일 1743.04.13 미국 버지니아 앨버마를 샤드웰 사망일 1826.07.04 몬티첼로
미국 독립선언문을 기초했으며 미국 제3대 대통령을 지냈다. 1775년 버지니아 대표로 제1, 2차 대륙회의에 참가했고, 1776년 대륙회의의 독립선언문 기초위원으로 선발되었다. 이후 버지니아로 돌아와 버지니아의 법률과 제도를 개혁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1779년 버지니아 주지사가 되었다.
1783년 연방회의 의원이 되었고, 연방의회에서 영국과 강화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이후 1784년 버지니아가 정부에 양도한 오하이오 강 북서부 지역에 관한 정부안을 입안했다. 1796년 부통령, 1800년에는 대통령이 되었다. 1803년 나폴레옹 1세로부터 프랑스령 루이지애나를 사들여서 미국 영토를 거의 배가시켰다. 1809년 제임스 매디슨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줬다.
'경영·전략·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정 5S 란.. (0) | 2017.03.02 |
---|---|
[스크랩] 공장 혁신의 기본 사고 (0) | 2017.01.11 |
삼성의 위기, 이병철·이건희 회장이라면… (0) | 2016.10.13 |
실력자와 행운아가 싸우면 결국 운 좋은 사람이 이긴다 (0) | 2016.10.09 |
트럭장사, 새벽 5시에도 가능하다고? (0) | 2016.06.24 |